숫자로 만나는
모두의학교
평생학습의 미래를 고민하다
정, 오답이 없는 평생학습 평가시스템 기반 마련
유휴 공간을 운영하다

함께 운영하다
시민 자원활동가 '모두아띠'
모두의학교를 알리다

컨퍼런스 국제 4건 국내 1건
- 2019 대한민국 교육자치 컨퍼런스
- 2019 제10차 한일 평생교육 학술 교류 대회
- 2019 KEDI 교육시설 국제 포럼
- 2019 제1회 미래교육 오산 국제 포럼
- 2019 한중일 평생학습 세미나
모두의학교에
배우러 오다

동네 고양이,
반려견의 아지트가 되다

다양하게 공유하다

배움의 기쁨과
희열을 누리다

- 서울특별시 84%
- 서울 생활권 14%
- 서남권 67%
- 서북권, 동북권 21%
- 동남권, 도시권 12%
학교와 연결하다

배움과 기쁨과 희열을 만들다

스스로 고민하고, 해결하고, 성장하다

삶과 세상을 연결하고, 공유하다
커뮤니티 징검다리 프로젝트 3개 개발

공공의 거실이 되다
모두의 책방 오픈 및 운영
공간의 문화를 개선하다
아무나가 아닌 모두나에게
열린 공간으로

사회에 가치를 더하고,
확산하다

- 함께 프로젝트 10개 개발
- 내 친구를 소개합니다, 모두의 에너지학교, 모두나누장(육아용품나눔장터), 방과후 식당, 기타
- 커뮤니티 2개 팀 연계
- 함성육아, 나무 프로젝트
- 협력 기관 18개 연계
- 청춘삘딩, 팹랩서울,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, 비전화공방 서울, 기타
시민으로 시작해 커뮤니티로
완성하다

누구나 쉽게 좋은 교육을
만들 수 있는 도구를 만들다

키워드로 만나는
모두의학교

- 공공의 거실
- 주거 생활에서 가족의 공동생활
장소로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거실처럼
모두의학교는 일방적으로
정보, 지식, 평생교육을 제공하는
공간이 아닙니다. 배움을 매개로
사람이 모이고, 세상을 만나고,
일상을 교류하는 공공의 거실입니다.
- 다리
- 모두의학교 프로젝트의
전문참여자와 참여자 사이에서
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보조강사를
일컫는 별칭입니다.
징검다리 역할에는 주로 민주적
의사소통, 능동적 참여 촉진,
배움 공간 준비 등이 있습니다.
- 모두아띠
- 서로 마음이 통하는
친한 친구라는 의미로
모두의학교의 든든한
지원군이 되어주고 있는
시민 운영자의 별칭입니다.
- 모두나
- 모두의학교를 좋아하고 존중하는
참여자를 일컫는 별칭입니다.
모두의학교는 아무나가 아닌
모두나에게 열려 있는 공간입니다.
- 모두의 앙상블 프로젝트
- 모두의학교 구성원이 전문참여자와
함께 직접 기획하고 진행하는
프로젝트입니다. 주체적인 학습
참여가 낯선 시민에게 생소하지만
어렵지 않은 방법으로 자신의 경험을
만들어가는 과정을 제공합니다.
경험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
주체적인 학습 참여를 유도합니다.
- 버킷리스트 카드
- 모두의학교의 참여자 요구 조사
도구 중 하나로 꼭 배우고 싶은 것,
해보고 싶은 활동의 목록을 적는
카드입니다. 죽기전에 꼭 해야 할 일이
하고 싶은 일들을 적는 버킷리스트와
같이 자기 자신을 중심에 놓고
고민하길 바라는 마음에서
시작하였습니다.
- 서로배움
- 서로가 평등한 관계에서 배우는
배움을 의미합니다. 새로배움과
더불어 모두의학교의 핵심 가치 중
하나이자 배움의 방법입니다.
평등의 가치 아래 어린이부터
어른신까지 누구나 서로의 선생이자
배움의 동료가 되는 방식입니다.
- 새로배움
- 알았던 것은 다르게 배우고,
몰랐던 것은 새롭게 배우는 배움을
의미합니다. 모두의학교의
핵심 가치 중 하나이자 배움의
주제입니다. 새로운 성찰을 바탕으로
나에 대해, 우리에 대해, 나아가
세상에 대해 배우는 것이라면
무엇이든 해당합니다.
- 소프트 스킬:마음 에너지
- 모두의학교에서의 배움은
실용적 기술에 중점을 둔
'하드 스킬(Hard Skills)'보다는
창의력의 원동력이자 실행
에너지인 '소프트 스킬(Soft Skills)'
강화를 지향합니다. 우리말로
'마음 에너지'라고도 부릅니다.
- 시민 커뮤니티학교
- 모두의학교에서는 누구나
자신만의 학교를 만들 수 있습니다.
평생학습의 수혜자에서 생산자로
우뚝 설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
- 전문참여자
- 모두의학교에는 학생과 선생님이
따로 있지 않습니다. 모든 수업
환경에서 '서로배움'이 일어나도록
'강사' 또는 '선생님'이란
표현 대신 사용하고 있습니다.
- 실행위원
- 모두의학교의 정체성을 구현하기
위한 다양한 층위의 실험 과제를
제안하고 실행하는 모두의학교
공식 전문가 그룹입니다.
- 초대 프로젝트
- 모두의학교의 참여자 요구 조사
도구 중 하나로 매년 초대 주제를
정하여 시민을 초대하고 있습니다.
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양적 조사보다
소수를 대상으로 하는 질적 조사
방법이 요구 조사에 효과적이라고
판단하기 때문입니다.
- 커뮤니티
- 모두의학교에서는 시민학교와
더불어 누구나 자신만의 커뮤니티를
만들 수 있습니다. 자신으로부터
시작한 배움이 타인과 사회를 위한
선한 영향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
지원합니다.
- 프로젝트
- 모두의학교에서는 전문참여자의
이야기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
강의형 수업을 지양합니다.
능동적인 '새로배움'이 일어나도록
'수업' 또는 '프로그램'이란 표현 대신
사용하고 있습니다.
- 평가
- 모두의학교에는 시험과 성적이
없습니다. 정·오답이 없는
마음 에너지의 변화량만 측정합니다.
측정 도구는 2019년 부터 경인교육대학교
류청산 교수님과 공동 개발하고 있습니다.